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리눅스

zsh 에서 ssh completion 이 ~/.ssh/config 을 참조하지 않는 경우 bash 에서 ssh 이후 탭키를 누르면 .ssh 폴더 하위의 config 와 known_hosts 파일의 host 주소를 나열해 주었는데, zsh 에서는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좀.... 이상하게 작동한다. 자신의 .zshrc 파일에 아래와 같은 내용을 추가하고 ssh 탭을 눌러보면 bash 와 동일한 completion 을 얻을 수 있다. h=() if [[ -r ~/.ssh/config ]]; then h=($h ${${${(@M)${(f)"$(cat ~/.ssh/config)"}:#Host *}#Host }:#*[*?]*}) fi if [[ -r ~/.ssh/known_hosts ]]; then h=($h ${${${(f)"$(cat ~/.ssh/known_hosts{,2} || true)"}.. 더보기
우분투에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사용시 키보드 사용 불가 증상 해결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안드로이드 관련 포스팅입니다. 안드로이드 진영에서 그동안 eclipse IDE에 제공하던 Android ADT를 올해 2015년 말까지만 지원한다고 이후부터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 전념한다고 이야기가 나오네요. 하여 개발환경을 우분투의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로 급하게 전환하고 있습니다. 자주 사용하지 않아서 잘 몰랐는데, 본격적으로 사용하게 되면서 단축키를 사용하는 경우 키보드가 잠겨서 마우스만 작동하는 증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검색을 시작하였습니다. 원인은 우분투의 입력기중에서 ibus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발생하는 증상으로 해당 증상을 해결하기 위해서 조금만 손보면 가능합니다. 일단 해결책이 있는 사이트의 링크를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물론 본 사이트에도 한글로 작성하겠지만요. 링크.. 더보기
[우분투] Potalion 2710QW 모델 nvidia 드라이버 설치 이후 화면이 정상적으로 나오지 않는 경우. 아오... DVI 연결만 있는 2560x1440 해상도의 27인치 모니터를 사용중인데 개발환경을 리눅스 개열로 변경하려고 하다보니 집의 모니터가 말썽이다. xorg 드라이버를 사용하면 상관없지만 virtualbox 에서 3d 가속 한번 해보겠다고 nvidia 드라이버를 잡았는데 정상적으로 화면이 나오지 않는 불상사가;;; 이것때문에 우분투를 정말 쓸까말까 고민 많이 했습니다. 오늘 구글링을 통해서 외국의 같은 모델을 사용하는 분의 xorg.cfg 파일의 힘을 빌어서 드디어 nvidia 드라이버를 깔고도 2560x1440 해상도의 미려한 화면을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동일한 모델을 사용하시는 분은 설정부분에서 모니터 부분을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저와는 VGA(여기서는 Device)가 다를 것이 분.. 더보기
[우분투] 우분투(리눅스)에서 zip 파일 압축 해제시 한글 깨짐 문제 해결 방법 윈도우에서 개발환경을 구성했던 것을 우분투로 이전하면서 이전에 윈도우 기반에서 압축했던 파일들을 다시 압축을 풀 경우가 생겼는데 한글로 된 파일명을 갖는 압축파일을 압축 해제하면서 인코딩을 정상적으로 인식하지 못하여 압축파일이 정상적으로 풀리지 않는 것을 보았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압축했던 파일의 문자인코딩형식을 알면 다행인데, 일단 윈도우 기반에서 압축했던 파일은 cp949 (euc-kr, MS949 등으로 알려진) 인코딩 캐릭터셋이라고 알려주면 됩니다. 콘솔에서 압축을 푸는 방법으로는 unzip 명령어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unzip -O cp949 위와 같이 -O 옵션을 사용하면 됩니다. 대문자 영문자 O를 사용합니다. 일단 콘솔로 위와 같은 명령어를 이용하면 정상적으로 압축을 해.. 더보기
리눅스의 samba 공유를 외부 네트웍에서 사용하기 #3 지난 2번째 시간에서는 리눅스에서 Samba 서비스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윈도우 7에서 SSH Tunneling 을 이용하여 외부 네트워크에서 Samba 의 파일공유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중간에 하나라도 빼먹으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으니 잘 살펴보고 따라 하시면 됩니다. 많이 사용하시는 윈도우 7에서 환경설정을 하겠습니다. (제가 윈도우 8, XP는 없어서 그런겁니다.;;) 첫번째로 할일은 ssh 에서 tunneling 에 사용할 윈도우 loopback 네트워크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윈도우의 시작버튼을 누르고 컴퓨터에서 오른쪽버튼을 누른 후 관리를 실행합니다. 컴퓨터 관리라는 창이 하나 뜨면서 장치관리자로 이동합니다. 위에 표시된 2군데를 순서.. 더보기
리눅스의 samba 공유를 외부 네트웍에서 사용하기 #2 2번째 글로 우분투기반의 리눅스에서 samba를 설치하고 셋팅하는 부분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저의 경우 lubuntu 를 서버로 사용하고 있어 lubuntu를 기반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몇몇 이미지만 다를 뿐 설치방법은 비슷합니다. lubuntu의 소프트웨어를 추가로 설치하기 위한 lubuntu-software-center를 실행하고 samba로 검색하면 몇가지가 나오는데 samba를 선택합니다. (프로그램의 설치는 항상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되어야 합니다.) 하단의 Add to the Apps Basket 을 클릭하면 상단의 Apps Basket 으로 추가되며 Apps Basket으로 이동합니다. 하단의 Install Packages 를 눌러서 설치를 시작합니다. 설치가 되면 이전에는 터미널에서 vi 등의.. 더보기
리눅스의 samba 공유를 외부 네트웍에서 사용하기 #1 나는 패스워드를 AIRoboform이라는 프로그램으로 관리한다. 이 프로그램에서 패스워드를 서버에 올려서 관리도 해주지만 내 패스워드가 다른 서버에 올라가 있다는게 꽤 꺼림직했다. 이런 와중에 집에 만들어 놓은 리눅스 서버의 samba를 외부네트워크에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없나하는 생각이 들었다. (참고로 samba는 내부네트워크를 위해서 만들어진 파일공유방식으로 외부네트워크에서 연결하려면 작업이 좀 필요하다.) 기본적인 개념은 다음과 같다. 1. 리눅스에서 samba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내부네트워크에서 정상적으로 파일공유가 되는 상태를 가정한다. 2. 윈도우에서 외부네트워크로 samba 서비스에 접근하는 것을 배경으로 한다. 3. 윈도우에 loopback adapter를 설치한다. 4. ssh.. 더보기

반응형